알림마당

관련뉴스

home > 알림마당 > 관련뉴스 > 관련뉴스
공지사항
"전기차發 고용 불안에"..강성 노조 전성시대 왔다[뉴스1]
          2021-12-29 | 105
쌍용차 제외한 국내 완성차 4사, 강성 노조 출범
정년 연장·임금 인상·처우개선 요구..'전기차 전환' 차질 우려
현대자동차 2공장 생산라인. © News1

 전기차 시대가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면서 완성차 노동조합도 변화가 생겼다. 대화와 타협에 무게를 뒀던 이전 노조와 달리 강성 노조 시대가 열렸다.

고용 불안이 강성 노조에 대한 지지로 이어졌다. 강성 노조 출범으로 자동차 업계의 전기차 전환, 온라인 판매에도 차질이 생길 전망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의 27대 임원(지도부) 선거 2차 결선 투표에서 강성으로 분류되는 홍진성 후보가 당선됐다.

홍 후보는 정년을 62세까지 연장하고, 잔업 30시간을 포함한 '완전월급제'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또 '차량 온라인 판매'를 막아 판매원노조의 일자리를 지키고, 성과급과 상여금·휴가비 등의 인상을 추진하기로 했다.

강성 노조 출범은 기아뿐만이 아니다. 앞서 임단협을 타결한 현대차노조 선거에서는 안현호 후보가 노조위원장으로 당선됐다.

금속연대 출신인 안 후보는 1998년 정리해고 투쟁 당시 현대정공노조 위원장으로 현대차 노조와 연대 총파업을 이끈 인물이다. 지난 2007년에는 현대차 성과급 관련 시무식 난동 사건으로 구속되기도 하는 등 '강성 중의 강성'으로 분류된다.

그는 상여금 전액 통상임금 적용, 식사 시간 1시간 유급화, 정년 연장, 일반직과 여성 조합원 처우 개선, 4차 산업혁명 고용 대책 마련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한국GM 노조에서도 '강성' 흐름이 이어졌다. '제27대 한국GM 임원후보 결선투표'에서 당선된 김준호 위원장은 Δ부평1공장 트레일블레이저 단종 이후 신차 배정 Δ부평2공장 1교대 유지 Δ전기차 유치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르노삼성 노조 역시 '강성'으로 분류되는 집행부가 이끌고 있다. 박종규 르노삼성 노조위원장은 2011년 9월 금속노조 르노삼성차지회 설립을 주도, 초대 지회장을 지낸 인물이다. 지난 선거에서의 '금속노조로의 조직전환'을 공약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완성차 업계 전반에 강성 노조가 등판한 셈이다. 전기차 전환과 온라인 판매 등 고용 불안감이 커진 것이 배경으로 거론된다.

실제 전기차는 내연기관보다 부품이 30%가량 적기 때문에 필수 근무 인력도 줄어들게 된다. 현대차와 기아는 인위적 구조조정 없이 정년퇴직에 따른 자연감소를 추진 중이지만,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등은 이미 생산직 인력 감축에 나섰다.

판매 역시 온라인으로 주도권이 넘어가고 있다. 현대차는 경차인 캐스퍼를 온라인에서만 판매했으며, 테슬라도 온라인 판매만 고집하고 있다. 다른 업체들도 온라인 판매를 추진 중이다.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전환하고, 온라인 판매가 늘어나면서 생산직과 판매직 직원들이 강성 노조에 표를 보탠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명촌정문에서 1조 근로자들이 퇴근을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윤일지 기자

강성 노조 출범에 완성차 업체들도 긴장하고 있다.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전기차 전환이나 온라인 판매 등을 추진하는 데 차질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강성 노조는 정년 연장과 고용 창출, 임금 인상 등을 위해 파업을 무기로 사측을 압박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 완성차 3사(현대차·기아·한국지엠) 지부장들은 지난 3월 국회 앞에서 국민연금과 연계하는 정년연장 입법촉구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생산, 유통 환경이 급변하는 환경에서 강성 노조 출범은 부담이 크다"며 "협상을 통해 최대한 좋은 결론을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다른 관계자는 "정년 연장과 과도한 임금 인상 등 강성 노조 요구를 들어주면 회사가 문을 닫아야 한다"며 "환경 변화에 맞춰 노조도 유연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keon@news1.kr [신건웅 기자]

공지사항
이전글 ▲ '시선집중' 리비안x아마존 전기밴 'EDV 700' 美 도로서 포착[지피코리아]
다음글 ▼ 전기차 1년 걸리는데 '가격 인상'···중고차, 신차 가격 역전도[서울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