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마당

언론보도

home > 알림마당 > 관련뉴스 > 칼럼
공지사항
[김필수 칼럼] 자율주행차 안전 담보하려면
          2019-11-01 | 615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겸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겸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글로벌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시장 주도권을 쥐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기에 비즈니스 모델 융합이 대세로 떠오르다 보니 기업끼리의 합종연횡은 물론 이종 간 결합이나 적과의 동침은 기본이 돼가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센서와 5G 초고속 통신망, 주문형 반도체, 인공지능(AI) 등을 포괄하는 과학기술의 총아다. 이를 지배하면 미래의 먹거리를 모두 가져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율주행차의 개발은 레벨0부터 레벨5까지 6단계가 있다. 레벨5에 도달하면 능동식 안전장치를 통해 미연에 사고를 예방하고, 완벽한 자율 주차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 아파트 단지 내에서 시속 20~25㎞로 알아서 저속 자율주행하고, 이러한 환경은 고령자가 조작하는 마이크로 모빌리티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 모든 기술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탄생시킬 것이다. 

현재 자율주행차는 레벨 2~3단계에 있다. 이는 한산한 고속도로에서 핸들에서 손을 놓은 채 병뚜껑을 따거나 간단히 휴대폰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도다. 문제는 이러한 기능을 과신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미국에서도 이로 인해 사망자가 발생했다. 우리나라도 안전지대는 아니다. 약 5~6년 후에는 진정한 자율주행차라고 할 수 있는 레벨4 단계에 진입할 전망이다. 이에 맞춰 보험이나 제도적 시스템이 바뀔 가능성도 크다. 


본격적으로 자율주행차가 시중에 나오면 차에도 법 인격을 부여하는 만큼 의무적으로 탑재해야 하는 기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고가 발생하면 어떤 부위에 문제가 있었는지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고 이를 예방하는 방법도 중요하게 여겨질 것이다. 사망사고의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으면 수십~수백만대의 자율주행차가 동시에 운행을 중지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먼저 자율주행차에 걸맞은 블랙박스의 탑재를 고민해봐야 한다. 비행기용 블랙박스와 같이 차량이 출고될 때 보이지 않는 센터페시아 근처에 담겨 아무나 분해하지 못하도록 해야 하고, 설사 분리가 된다고 해도 해독이 어려운 암호화 프로그램 안에 정보가 있어야 한다. 사고 원인은 다양하다. 통신 혹은 센서의 문제 또는 해독하는 소프트웨어나 인공지능 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복합적으로 문제가 엮일 가능성도 있다. 원인 파악만 제대로 되면 지금의 자동차 급발진 문제나 화재 원인 등도 더욱 세밀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보험의 처리나 법적인 문제도 쉽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가지 의무화 장비는 해킹방지 시스템이다. 이미 미국에서는 커넥티드 카의 기능을 인터셉트해 약 5건의 자동차 해킹 사례를 도출한 바 있다. 운전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자동차를 움직여 사고를 일으킨 것이다. 시속 100㎞ 이상 달리는 자율주행차의 핸들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갑자기 꺾이는 영화 같은 장면이 나올 수 있다. 자동차 자체가 움직이는 컴퓨터이며 휴대폰 등 각종 전자기기와 연결돼 있어 해킹방지는 매우 중요한 과제다. 

자율주행차의 인공지능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아직 초기단계지만 기술이 점차 고도화되면 자체적으로 판단해 바퀴를 움직일 것이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겸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공지사항
이전글 ▲ [김필수 칼럼] 국내 전기차 활성화, 지금이 적기다
다음글 ▼ [김필수 칼럼] ‘타다’ 문제, 공유경제 모델은 어디로 가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