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마당

언론보도

home > 알림마당 > 관련뉴스 > 칼럼
공지사항
[김필수 칼럼] 자율주행차 개발, 완벽한 자율보다는 응용기술이 더 중요하다.
          2019-08-27 | 603
미래차는 전기차와 같은 친환경차, 자율주행차와 이를 응용한 모빌리티 셰어링 형태일 것이다.

특히 자율주행차는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인 5G와 빅데이터, 초고성능 센서는 물론 인공지능 등이 모두 결합되어야 가능하다. 인간이 운전할 때의 수천만 가지 조건에 맞춰 각종 융합부품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해 완벽하고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해야 하는 만큼 예외가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만큼 쉬운 기술이 아니고, 인간이 역사적으로 개발한 각종 제품 중 가장 완벽한 융합기술이 필요하다. 

전 세계는 현재 자율주행차 쟁탈권을 놓고 치열하게 싸우고 있다. 핵심적인 고부가가치 부품이 많이 소요되고, 세계 주도권을 쥘 수 있는 분야인 만큼 모든 글로벌 기업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130여년의 내연기관차 중심 시대를 지나 친환경차와 버무려진 자율주행차가 주도할 것이다. 각종 고성능 센서와 이를 구성하는 각종 주문형 시스템 반도체, 인공지능 소프트웨어가 핵심 기술이다. 기존 글로벌 제작사 중심에서, 앞으로는 핵심 역량을 가진 글로벌 기업이나 첨단 스타트업들이 주도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자율주행차는 일반적으로 레벨 0~5까지 6단계로 언급되고 있다. 레벨 0는 모든 운전을 인간이 한다는 뜻이고, 레벨 1은 앞뒤 차의 간격을 자동적으로 조종하는 크루즈 운전이나 차선이탈 경보장치 같은 것들이다. 레벨 2는 ADAS 시스템같이 종합적으로 차량을 제어하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레벨 3는 한산한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두 손을 놓고 운전하는 정도다. 현재의 기술 수준이 여기까지 왔다. 고가의 최고급 승용차를 중심으로 탑재된 기술이다. 다만 미국 테슬라 오토파일럿 기능 등 바로 자율주행기술을 의미하지만 완벽하지 못해 사망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자율주행차는 레벨 5를 지향해 개발되고 있으나 문제점도 많아서 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모든 책임을 운전자가 감수해야 한다. 지금부터 5~6년 후에 출시되는 레벨 4 기술이 적용된 차량이 출시된다면, 이때부터 진정한 자율주행차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 차량은 비상시에 인간이 개입하는 경우를 빼고는 모두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문제 발생 시 보험 적용, 법적·제도적 기반도 조성된다. 마지막으로 레벨5는 완벽한 자율주행으로 목적지까지 유인이나 무인 상태에서 인간의 개입 없이 완벽한 자율주행이 가능한 시대를 의미한다. 지금도 문제가 많은 만큼, 이러한 레벨 5 단계는 핑크빛 목표로 놔두고 미래를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현재의 기술은 법적·제도적 준비도 매우 미약하지만 센서 등의 문제로 먼지가 많이 나는 오프로드나 폭우나 폭설 등은 물론 바닥에 떨어진 신문지 덩이나 포트 홀 등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인공지능이 탑재될 경우 판단하는 윤리적 결정도 심각한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해킹도 가능해지면서 살인을 교통사고로 위장하는 사고도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로서는 자율주행차를 바라보는 시각은 "내가 나를 못 믿는데, 내가 너를 어떻게 믿느냐"는 수준으로 보는 게 맞는다. 아마도 완벽한 레벨5 단계의 자율주행차는 언젠가 구현되겠지만 우선은 꿈으로 남겨두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년 내에 차량이 스스로 자동 주차하는 풀 파킹 시스템이나 시속 20~30㎞ 정도의 낮은 속도로 아파트 단지 등을 연결하는 저속 마이크로 버스 등은 물론, 기기 조작이나 판단능력이 떨어져 급증하고 있는 고령자 운전을 대신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능동식 안전 차량도 상용화될 것이다. 또한 자율주행차 전용 고속도로에서 10여 대의 대형 트레일러가 붙어서 이동하는 자율주행 군집 운행 차량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선진국 대비 핵심 센서인 라이더 센서 국산화,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여러 면에서 뒤처져 있다. 약 4~5년 격차가 있다. 미래 먹거리 가운데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할 자율주행차는 확실히 우리가 보유해야 할 국산 원천기술이다. 

현재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고통받는 이유도 바로 이러한 핵심 소재와 기술 등이 미비돼 있기 때문이다. 산·학·연·관의 노력과 중앙정부의 실절적인 융합 기관 구축 등 네거티브 정책 기반의 자유로운 제도적 적용 등 단점을 줄이면서 미래를 위한 움직임을 빨리 준비해야 한다.
 

[사진 = 김필수 교수 ]

공지사항
이전글 ▲ [김필수 칼럼] 전기차 보급 활성화 위해 충전기 보조금 제도 개선해야
다음글 ▼ [김필수 칼럼] 국내 마이너 제작사 3사의 위기, 이젠 생존의 문제